리눅스 파일 내용 초기화 방법 3가지
- 리눅스
- 2023. 2. 24.
리눅스를 사용하시다 보면 파일 내용을 초기화 해야 하는 일이 생깁니다. 몇 줄 되지 않는다면 파일을 다시 만들거나 열어서 dd로 쭉~ 삭제해 주시면 되지만 너무 길거나 용량이 크게 되면 이 방법으로는 너무 오래걸리게 됩니다.
오늘은 리눅스 파일 내용을 전부 삭제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1. 파일 열어 내용 삭제하기(%d)
파일을 열어서 내용을 지우기 파일을 열고 내용을 지우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, 텍스트 에디터를 사용하여 파일을 열고 내용을 삭제하고 저장하는 것입니다.
vi 에디터를 사용하여 파일을 열고 :%d 명령을 입력하여 파일의 모든 내용을 삭제한 다음, :wq 명령을 입력하여 저장하고 종료할 수 있습니다.
2. 파일 null로 덮어 씌우기
리다이렉션을 사용하여 파일 초기화하기 리눅스에서는 리다이렉션을 사용하여 파일의 내용을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다음과 같은 명령을 사용하여 파일 내용을 지울 수 있습니다.
$ cat/dev/null > 파일명
이 명령은 /dev/null을 사용하여 파일 내용을 지우고, 리다이렉션을 사용하여 새로운 빈 내용을 파일에 쓰는 것입니다.
/dev 디렉토리에 들어가 보시면 null 파일이 있습니다.
3. truncate 명령어 사용하기
truncate 명령어는 파일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파일의 내용을 잘라내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.
데이터베이스에서도 보통 테이블 자체는 삭제하지 않고 테이블 안의 내용만을 날릴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.
파일의 크기를 0으로 설정하여 내용을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.
$ truncate-s 0 파일명
이 명령은 파일의 크기를 0으로 설정하여 파일의 내용을 모두 지우는 방법입니다.
저는 여태까지 /dev/null로 지우는 방법만을 찾아다녔는데 여러 방법이 있었습니다.
위의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파일 내용을 초기화하시면 되겠습니다. 참고로 테스트에 사용한 OS는 맥북 OS인 OSX입니다.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entOS ODBC 설치 방법 (데이터베이스 접근 API) (0) | 2024.09.28 |
---|---|
시스템에 접근한 사용자 목록 조회 (0) | 2024.09.18 |
Linux fdisk 파티션 생성 및 마운트 방법 (0) | 2022.12.29 |
[Linux] mkfs.xfs device or resource busy 해결방법 (0) | 2022.12.27 |
리눅스 hosts.allow hosts.deny 설정하기 (0) | 2022.12.13 |